2009년 9월 15일 화요일

한장짜리 보고서에도 스토리 담아라 [한경]



사내방송 통해 문서혁신 강조

상사·부하직원 수시로 소통…간결하고 창의적으로 작성


상사:"양은 많은데 내용이 없어.어라 이건 또 뭐야? 다시 고쳐와!"(호통)

부하:"부장님이 지시한 내용이 명확하지가 않아서 그런 건데…."(불만)

업무용 보고서를 잘 쓰기로 정평이 난 삼성이 '보고서 혁신'에 나섰다. 기업 경쟁력을 갉아먹는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상징으로 보고서를 지목한 것이다.

삼성은 14일 전계열사로 송출된 사내방송을 통해 현행 보고서 문화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내놨다. 방송에 따르면 삼성이 인력개발원을 통해 파악한 직원들의 보고서 작성 건수는 평균 1주일에 세 건 정도였다. 한 건 작성에 투입되는 시간은 평균 2시간30분.이렇게 많은 시간을 들이고도 만족스러운 내용을 담을 확률은 극히 낮다는 게 방송의 요지였다. 작성 기술의 문제라기보다는 보고서가 쓰여지는 경로에 문제가 있다는 진단도 덧붙였다.

◆소통방식을 바꿔라

삼성의 이번 캠페인이 '한 장으로 압축하는 것'과 '한자(漢字) 병기'를 양대 축으로 하는 기존 보고서 작성 틀을 깨자는 것은 아니다. 보고서의 핵심 콘텐츠가 제대로 공유되고 전파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변화를 주자는 취지다.

방송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공룡과 쥐의 관계를 들었다. 과거 거대한 포식자인 공룡이 쥐 때문에 멸망했다는 학설이 나오고 있다는 점을 환기시켰다. 공룡은 몸이 거대하고 신경조직이 발달하지 못해 꼬리부터 점령해오는 쥐에 꼼짝없이 당했다는 것.거대한 기업에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되지 않는다면 공룡처럼 몸의 한부분 한부분이 떨어져나가 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장'의 요건

보고서의 적정 분량은 어느 정도일까. 삼성이 내놓은 답은 여전히 '한 장'이다. 세계 최고의 마케팅 기업으로 손꼽히고 있는 P&G가 이미 1930년대부터 시행하고 있는 보고서 작성 원칙이기도 하다.

삼성은 대표적인 사례로 삼성SDS가 운영하고 있는 멀티캠퍼스의 교육과정인 '원 페이지 프로포절(one page proposal)'을 들었다. 추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둘러싼 모든 사실과 추론,실행과정까지 설득력있는 언어를 사용해 한장에 담아야 한다는 원칙이다.

삼성은 보고서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향후 보고서 작성을 위한 세 가지 가이드라인도 제시했다. 간결하게 작성하고,첫장에 핵심을 요약하고,개성있는 스토리 체계를 구성하는 것이다.

삼성 관계자는 "오래 전부터 '가장 뛰어난 보고서는 한 장짜리'라는 얘기를 귀가 따갑도록 들어왔다"며 "이는 보고서의 수요자들인 의사결정자들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라는 의미가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쁜 임원들이 보고서 한 장으로 모든 것을 파악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하되,스토리를 담아 설득력을 높이라는 설명이다. 과거 대통령에게 올라가는 보고서 가운데 으뜸으로 꼽히던 국정원 보고서도 대부분 한 장짜리로 알려져 있다.

◆"보고서는 자신의 분신"

삼성은 보고서의 달인으로 두 사람을 소개했다. 2008년초 '금리차 밸류에이션 조정으로 장세 폭발'이란 제목의 두 장짜리 보고서로 억대 연봉을 제안받은 D증권사 애널리스트와 삼성물산의 김광일 상무였다. 김 상무는 방송 인터뷰에서 "보고서는 독창성과 차별성이 있어야 하며,작성자는 보고서를 분신처럼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창의적인 보고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평소에 일기쓰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방송은 또 이용갑 미래경영연구소 소장을 통해 좋은 보고서의 조건인 '결근방기(結根方期)'도 소개했다. 결론부터 말하라,근거를 확보하라,방법에 확신을 가져라,기대효과를 명확히 하라는 등의 내용이었다.

 


 

출처 :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
한국경제 | 기사입력 2009-07-14 18:33

새로 정착한 텍스트큐브 블로그

좀처럼 감잡을 수 없는 중국의 정책으로 인해

기존 사용하던 구글블로그, 트위터, 유튜브....

모두 접근이 막혔다.

그렇다고 자주 하던 것도 아니긴 했지만...

젠장...

 

텍스트큐브에서 다시 블러그 질을 해볼까 한다.

 

Wilson ProStaff Original 6.0


내가 쓰고 있는 라켓. ProStaff 6.0 오리지날...

클래식 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짜릿한 손맛을 느끼게 해주는 명기중의 명기.

테니스 치고 싶다.

 

60-big.jpg

이미지출처 : ontennis.com

The Wilson ProStaff Original 6.0 is a tennis racquet made by Wilson that garnered much attention when tennis great Pete Sampras used it throughout much of his career. Its current successor is known as the Wilson kSix-One, which is currently used by ATP Pro Roger Federer. Players must, however, note that Federer's racquet is custom made for him by Wilson and thus will play considerably differently to an off-the-shelf (stock) kSix-One. Indeed, the make of Roger's racquet beneath its paintjob has for some time been a subject of avid and heated speculation by a large number of racquet enthusiasts on a number of tennis forums, with the general consensus being that Roger Federer is using a specially designed Prostaff 6.0 Original, altered to a 90 sq.in. head but with the same string pattern and frame composition as the 6.0. While from a distance the racquet appears to be a Tour 90, upon closer examination, the throat and custom made extended handle are clearly of the Prostaff 6.0 mould. Nonetheless, the paintjob, tapered throat flanges (not present in the Prostaff 6.0 Original 85) and extended handle ensure that the true identity of Roger Federer's racquet remains a mystery to all, perhaps including Federer himself.

Contents

[edit] History

Originally manufactured in Chicago, Illinois and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the ProStaff was Wilson's answer to the Prince Original Graphite and the Dunlop 200G Max. Several ATP and WTA Touring pros used the ProStaff but one in particular stood out, a young Pete Sampras from Southern California emerged on the tennis scene, shocking many by winning the U.S. Open at age 19 in straight sets over Andre Agassi with the racquet. Other notable players who have used the Prostaff Original 6.0 to considerable success are Stefan Edberg, Jim Courier, Chris Evert and Mary Pierce. Together, their grand slam singles total is a substantial 43 championships.

[edit] Specifications

The 6.0 is manufactured in 4 head sizes, 85, 95, 110, and 125 square inches. The 85 is unforgiving with its 12.6 ounce (357 g) weight and extremely low power. The 95 is much more forgiving with an overall weight of 12.2 ounces (346 g) and a lower swingweight (317 as opposed to the 85's 326). Both have a 16x18 string pattern making the frame more open and easier to generate spin albeit the user must generate much of the spin's power with timing and wrist pronation. The Prostaff 6.0 also performs admirably well with flatter hitters (as evidenced by the success of Pete Sampras and Mary Pierce) as a result of its considerable heft and control. A flat hitting power-oriented game will therefore benefit considerably from the inherent control and stability of the frame. The small headsize of the 85 and Perimeter Weighting System also minimize the torque on off-center hits, further enhancing control at impact.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frame composition of 80% graphite and 20% kevlar. The high percentage of graphite allows for a 'softer' feel, while the kevlar provides more strength in the frame. Also unique is that the graphite in the Prostaff 6.0 Original is braided. While more modern racquets consist of many pieces of graphite spliced to the framework of the racquet, the braided graphite construction of the Prostaff 6.0 is such that only a single, long piece of graphite is used, which is then 'braided' around the frame. This creates more strength and stability in the racquet, while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frame.

[edit] Significance

Besides being used by many pros and club players in its heyday, the ProStaff 6.0 continues to have a cult-like following. Its initial success is due in part to tennis legend Pete Sampras who used the frame in his career,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Sampras did not use a stock version but a customized heavier and weaker version. The racquet has brought on many variations such as the 6.1 and the ROK models, both of which are still favoured in the tennis world. The St. Vincent make, favoured by Sampras himself, became the choice racquet for collectors. Since the St. Vincent factory closed down, demand for the iconic St. Vincent Prostaff 6.0 is causing an increase both in its rarity and its price.

[edit] Criticism

The 6.0 85 has drawn criticism for its weight, small head and low power. Though the small head may be consistent, it has forced many mis hits from players. Many counter by saying that the head does not matter, but that the timing and technique of the stroke is of greater importance. In addition, the head light balance provides substantial control while also making the racket deceptively maneuverable in the execution of a wide variety of strokes. In particular, the weight of the racket provides unparalleled control at the net. Despite this, its heavy weight and low power deter many players as current users eschew the Pro Staff 6.0 in favor of more modern Midplus and Oversize rackets for greater power and a greater hitting range.

2009년 쇼핑몰 디자인 51선

2009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전 세계 온라인 쇼핑몰 웹 디자인 트렌드의 흐름은 어떤 방식으로 흘러가고 있는지 각 분야별로 51개의 쇼핑몰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주로 미국과 일본, 유럽, 캐나다의 쇼핑몰 디자인들이며 국내 쇼핑몰은 굳이 소개하지 않더라도 자주 볼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소개하지 않는다.

1.erotokritos.com

http://www.erotokritos.com/

2. annascholz.com

http://www.annascholz.com/online-store.html

3. babymelons.com

http://www.babymelons.com/

4. gomedia.us

http://gomedia.us/arsenal/

5. floresfrescas.com

http://www.floresfrescas.com/

6. uniqlo.co.uk

http://www.uniqlo.co.uk/

7. vitradirect.com

http://www.vitradirect.com/

8. bettercloset.com

http://www.bettercloset.com/

9. biobabybett.de

http://biobabybett.de/

10. shinypaw.com

http://www.shinypaw.com/

11. kwiaciarniarzeszow.pl

http://www.kwiaciarniarzeszow.pl/

12. jolidragon.com

http://www.jolidragon.com/

13.jedalitalianfashion.com

http://www.jedalitalianfashion.com/

14. pennylaneonline.com

http://www.pennylaneonline.com/

15. fusionsportsuk.co.uk

http://fusionsportsuk.co.uk/

16. abelandcole.co.uk

http://www.abelandcole.co.uk/

17. shirtcity.com

http://www.shirtcity.com/

18. nest-living.com

http://www.nest-living.com/

19. feuerwear.de

http://www.feuerwear.de/

20. quizclothing.co.uk

http://www.quizclothing.co.uk/

21. m-pantry.com

http://www.m-pantry.com/

22. narien.com

http://narien.com/

23. meiji.co.jp

http://www.meiji.co.jp/sweets/choco-cafe/

24.talbots.com

http://www1.talbots.com/talbotsonline/index.aspx?BID=&h=Home

25. lumine.jp

http://i.lumine.jp/shop/c/c22/

26. sevenplanet.com

http://www.sevenplanet.com/

27. hippyrose.co.uk

http://www.hippyrose.co.uk/

28. just-gorgeous.com

http://www.just-gorgeous.com/

29. shoon.com

http://www.shoon.com/

30.bornshoes.com

http://www.bornshoes.com/

31. nortberlin.com

http://www.nortberlin.com/

32. sergiorossi.com

http://www.sergiorossi.com/

33. fugitivetoys.com

http://fugitivetoys.com/

34. patchtogether.com

http://www.patchtogether.com/

35. tricycleterror.com

http://tricycleterror.com/#scroll-left

36. pulpcreativepaper.com

http://www.pulpcreativepaper.com.au/

37. trotman.co.uk

http://www.trotman.co.uk/

38. uppercasegallery.ca

http://shop.uppercasegallery.ca/

39. smallable.com

http://www.smallable.com/

40. morphica.jp

http://www.morphica.jp/jsp/index.jsp

41. mydeco.com

http://mydeco.com/

42. goincase.com

http://www.goincase.com/

43. ivyskin.com

http://www.ivyskin.com/

44. covercase.com

http://www.covercase.com/

45. hellolucky.com

http://www.hellolucky.com/

46. paper-source.com

http://www.paper-source.com/

47. littletwig.com

http://www.littletwig.com/

48. dirtycoast.com

http://dirtycoast.com/home.php

49. made590.com

http://www.made590.com.au/index.html

50. supermarkethq.com

http://supermarkethq.com/browse/everything

51. mousetominx.co.uk

http://www.mousetominx.co.uk/index.php

출처

전자신문 | 기사입력 2009-07-31 09:54